韓國歷代文集DB
MKSDB韓國歷代文集DB › 資料庫概要
目錄

概要

  • 是韓國文化的總集結以及韓流的來源。
  • 是把韓國歷代主要人物三千五百餘人的文集編而成的,算是韓國的四庫全書。

《韓國歷代文集叢書》是從韓國古代(新羅時代)到近代(日據時期),收集三千五百餘人的文集而編成的資料集,共有三千卷。為了理解韓國的歷史和文化而使用許多資料,那些資料大部份來自於文集。在《韓國歷代文集叢書》收錄的資料中,八成是尚未公開的資料,而且其份量和價值是無可匹敵的。所以《韓國歷代文集叢書》在研究韓國歷史文化時,是不可缺少的基本資料。

《韓國歷代文集叢書》不僅是研究韓國學方面的基本資料,而且是帶動韓流文化的資料來源。就是各文集收錄的歷史、文學、藝術、外交和雜學等內容, 提供韓國文化方面的各種故事,而在世界帶動韓流文化。即除了韓國學研究者以外, 還有文化工作者也在本叢書找出新的構想,如此本叢書在韓國學和韓國文化發展上具有重要意義。

韓國歷代文集叢書數位化係計劃

韓國歷代文集叢書的數位化,是我們景仁文化社的宿願。雖然約達三千五百餘人的文集出成了三千卷的《韓國歷代文集叢書》,但在資料整理和介紹上,有不少限制而利用不便。 因此2011年我們新設立了「MEDIA韓國學」, 與研究韓國學的世界著名大學建立合作關係,而籌備「建立韓國歷代文集叢書資料庫計畫」。

這次顯現的第一次成果,是收錄資料名和各卷的目次索引。輸入漢字資料名和目次的工作,由香港城市大學圖書館(City University of Hong Kong Library)負責, 韓文輸入工作,由韓國濟州大學負責進行。 而且用羅馬字母標記韓文音的工作,由美國伯克利大學的東亞圖書館擔當 (East Asia Library, Berkele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MEDIA韓國學」綜合這些工作成果而建立了韓國學資料庫。韓國學資料庫不僅收錄資料名、目次和索引,而且將整個韓國歷代文集叢書作成電子書,因此讀者容易檢索目次,進而可以閱讀原文。

韓國學資料庫以韓國學研究的基本資料,將來貢獻於世界各地進行的韓國學研究。

助於建造資料庫的機構

線上DB凡例

  1. 文集目錄是按照《韓國歷代文集叢書》的分類方法而做的。
  2. 分為其他文集的附錄、別稿、續集、年譜、補遺、拾遺等,為了助於辨析,按如下順序輸入。
    • 可以確認標題名的文集,併記了標題名。例子)別集→梅月堂別集
    • 表記了卷首題。
    • 若卷首題不恰當,併記了文集名。
  3. 對一部重複的文集,刪掉了後面的文集。
  4. 按照原來文集的目錄名進行了文體分類。
  5. 對文集內的著者的生卒年代,我們參考了韓國學中央研究院的韓國歷代人物綜合情報系統

한국역대문집총서목록 서론

문집이란 대개 문장이나 시부 등 개인의 모든 저작물을 찬집한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것은 개인 당대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등의 실상을 살펴보 는데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종류는 대략 몇 사람의 시문을 함께 엮은 合稿類, 후인이 남겨진 유문 등을 엮은 遺集類, 명성이 있고 저술이 많은 학자들의 저작물을 엮온 全集類, 개인이 남긴 시문과 후인의 頌과 송(贊) 등을 항께 엮은 실기류(實記類) 등으로 크게 나눌수 있다.

이런 문집들은 문벌을 중시하던 신분사회에서 후손들의 조상숭배와 그 가문의 향당에서의 사회적인 지위의 보전 등 명성을 떨친 개인올 중심으로 혈연과 학연 · 지연을 결속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교적 많이 간행되었다. 그러나 그 간행이 가문의 경제적 여건이 허락된다고 하여도 개인 당사자나 그가 속한 문중이 항촌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면 간행될 수 없었고, 혹 간행되었을 지라도 반질(頒帙)하지 못하였다.

문집은 개인적인 저작물이라는 특성 때문에 편집과정에서 자가선양을 위해서나 간행 당시의 사회적 상황 등 여러 가지의 문제에 따라 특정 사건이 변개 또는 삭제, 혹은 과대평가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내용은 보다 미화되거나 무비판적인 성격을 지닐 수 있어 간혹 역사적 진실올 왜곡하여 전하기도 한다. 이 점은 문집의 자료로써의 이용에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특히 김종직의 『점필재문집』의 경우처럼 개인 당사자가 정치 ·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경우는 심하면 이미 간행된 문집을 없애버리는 파판(破板)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현재 우리에게 전하고 있는 전적중에서 거의 절반에 이르는 양이 문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전하는 문집의 종류가 그 만큼 많고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한국학 연구의 자료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문집의 활용은 한국학의 내용을 보다 풍부하게 살찌울 필요불가결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이번 작업은 향후 문집 소재의 세부적인 목록을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 하기 위한 준비작업중 하나로 이루어졌다. 작업대상으로 선정한 문집은 약 3,500여명의 것이다. 당초에는 문집 개개별의 간단한 해제를 하는 작업으로 기본 틀을 구상하였으나, 이것은 편자의 능력 밖의 일이고 또 그럴 경우에는 본의 아니게 편자의 주관이 담길 우려가 있어 일정한 틀 속에서 작업하는 것이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간단하나마 저자의 섕몰연대를 비롯하여 간행시기 · 판본 · 목록 등을 주요 내용으로 수록하였다. 이것은 현존하는 모든 문집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한계를 가지지만 나름대로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되며, 이번 작업에서 수록되지 못한 문집들은 추후 계속적인 보완을 진행할 생각이다.

또 일단 편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문집 저자 개개인의 생몰연대를 파악하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시대나 분야와는 별개로 여러 문집올 일일이 뒤져보는 것도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개별 문집의 일정한 정리를 통해 간략한 정보라도 얻고자 하는 것은 한국학을 공부하는 사람둘의 한결같은 바램일 것이다. 이 작업이 이런 점에서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조그마한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이 기회를 통해 그간 많은 도움을 주신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우선 철부지 때부터 지금까지 모든 면에서 부족한 편자를 채찍질하여 학문의 끝자리나마 설 수 있게 해 주신 신천식 선생님과 김위현 선생님의 은혜를 평 생 잊을 수 없다. 이 작업의 결과가 이 선생님들께 누를 끼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그리고 보다 다양한 학문의 접근방법을 알려주시고 지도해주신 김호일 선생님, 노명호 선생님, 진성규 선생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또 30 여년 동안 우리나라 전국을 돌며 많은 문집을 발굴하여 영인 · 간행하므로써 한국학 연구에 공로를 하신 경인문화사 한상하 회장님을 비롯한 한정희 사장님과 편집실 여러분깨도 감사드리며, 그간의 작업과정에서 여러 도움을 주신 박물관 연구실 동료들의 고마움도 잊을 수 없다.

한국역대문집총서목록 범례

  1. 경인문화사에서 영인, 간행한 한국역대문집총서 1~3000권을 기본으로 하였다.
  2. 『○○先生文集』이라 표기되어 있는 문집의 제목은 ( )안에 원래의 제목을 병기하였다.
  3. 내용의 분류는 문집의 개별 목록을 원칙으로 하였고, 이를 본문의 순서와 비교하여 상이한 부분은 본문의 순서에 따랐다.
  4. 목록이 없는 문집의 경우에는 다른 문집의 목록을 준용하여 작성하였다.
  5. 하나의 문집에 다른 사람의 문집이 부록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하여 수록하였다.
  6. 世稿, 合稿, 聯芳集 등의 경우데도 역시 분리하여 수록하였다.
  7. 저자의 생몰연대는 문집 수록의 遺事, 行狀, 墓碣銘, 墓表, 墓誌銘, 神道碑銘 등의 자료를 우선하였다.
  8. 저자의 생몰연대 중 年紀와 干支가 다른 경우에는 干支를 우선하였다.
  9. 생몰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저자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던 시기를 王號로 표기하였다.
  10. 저자의 初諱, 舊諱 등은 ( )안에 병기하였다.
  11. 문집의 序者, 跋者를 밝히고, 그 작성 연대는 ( ) 안에 병기하였다.
  12. 저자의 遺事, 行狀, 墓碣銘, 墓表, 墓誌銘, 神道碑銘 등의 撰者는 ( ) 또는 [ ] 안에 병기하였다.
  13. 부록이 문집에 卷數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總卷數에 포함하였고 ,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14. 문집의 내용 중 雜著의 경우에는 가능한 범위에서 그 분류형태를 문집의 목록에 준용하여 작성하였다.
  15. 문집의 간행시기는 跋文의 작성연대를 기준으로 하였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高麗, 朝鮮時代 前期, 朝鮮時代 中期, 朝鮮時代 後期, 日帝强占期, 現代 등으로 분류하였다.

미디어한국학
韓國學綜合DB是MEDIA韓國學的學術資料庫服務。
loading